본문 바로가기
  • HUCHYUCHU 경제학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14

한계효용학파(마샬, 클라크)의 이론 한계효용학파(19세기 말~20세기 초) : 신고전학파의 시작 □(영국)제본스 → 마샬, 에스워스 한계 : 방법 → 발라스 ⇒19c 말~20c 초 신고전학파로 정착 효용 : 내용 → 마샬, 클라크 1. 마샬 (영국, 1842 ~ 1924) 「경제학원리」 ∘제본스의 이론을 변형시켜 신고전학파 기반을 마련하였다. 마샬이 제시한 ‘틀’은 미시경제학의 ‘기본골격’이 되었다. 대표적인 경제학 교과서 : 일차적으로 중요한 문제는 가치, 가격이다. 초기 한계효용이론이 ‘수요측면’을 일방적 강조한 것과 고전학파가 ‘공급측면’ 일방적 강조한 것은 모두 불완전 하다. 따라서 가격은 ‘수요’, ‘공급’ 양자가 영향을 미친다. 이 같은 논리는 고전학파와 한계효용학파(신고전학파)를 순조롭게 연결하려는 의도가 담겨있다. ○수요⇒한.. 2023. 7. 19.
1. 세계경제 - 경제학의 발전과 계보① 경제학이 하나의 체계적인 독립과학으로서 성립된 것은 자본주의 경제가 성립된 18세기 중엽이었다. 그 창시자를 프랑스의 케네(F.quesnay:1694~1774)라고 보는 사람도 있고 영국의 아담 스미스(A. Smith : 1723~1790)이라고 보는 사람도 있으나 대개 스미스가 경제학의 창시자로 보는 것이 통설이다. 스미스 이전에도 인간이 경제현상에 무관심 했던 것은 아니었으며, 이미 그리스·로마의 철학자나 중세의 신학자의 주장 속에서 수많은 훌륭한 경제사상을 발견 할 수 있었다. 그러나 고대 및 중세의 경제사상은 언제나 윤리학, 정치학, 신학의 일부로서 논의되었고 경제문제만을 독립적으로 취급하지 않았다. 고대 그리스와 기독교 전통에서는 상업을 통한 이윤추구는 결코 바람직 하지 못한 것으로 보았다. 영.. 2023. 7. 18.
4. 시장의 종류 경제학에서 시장의 종류는 완전경쟁시장만 있는 것이 아니다. 시장의 종류에는 완전경쟁시장 ↔ 불완전 경쟁시장(⊃독점, 과점, 독점적 경쟁시장) 독점시장 과점시장 독점적 경쟁시장 이 있다. 우리가 사는 사회는 완전경쟁시장이 실질적으로 존재한다고 보기 어렵다. 독점시장 또한 매우 드물다. 대부분 과점 및 독점적 경쟁시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경제학에서 시장이 중요한 이유는 시장의 특성에 따라 상품의 가격과 거래량이 정해지기 때문이다. 시장의 형태를 나눌 때에는 다음과 같은 기준에 따른다. 첫번째, 판매자의 수가 몇 명인가? 한 시장에는 판매자, 즉 상품을 생산하여 공급하는 공급자의 수가 시장의 형태를 나누는 데 매우 중요한 기준이다. 판매자의 수가 무한대 정도로 많을 경우 완전경쟁시장이나 독점적 경쟁시장으로 나.. 2023. 7. 18.
3. 수입(Revenue)과 이윤극대화 생산량 Revenue = P(가격) × Q(판매량) 앞서서 비용에 대해 알아봤다. 비용과 수익을 알면 이윤을 최대화 하는 생산량이 얼마인지 알 수 있다. 기업은 수입보다 비용이 많은 한 계속해서 생산량을 증가 시킨다. 수입은 다음과 같이 나눠진다. 총수입(Total Revenue, TR) : 상품을 팔아 얻은 수입의 합계 평균수입(Average Revenue, AR) : 상품 한 단위당 수입(수요곡선 = 평균수익곡선) 한계수입(Marginal Revenue, MR) : 상품을 한 단위 더 팔았을 때 추가로 얻는 수입 -한계수입이 '0'일때 TR은 극대화 된다. 총수입(Total Revenue, TR) : TR = P × Q 평균수입(Average Revenue, AR) : AR = TR ÷ Q 앞서서 배운 비용.. 2023. 7. 18.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