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슘페터(J. A. Schumpeter, 1883~1950) : 한계효용학파의 완성자
○생애
∘비엔나 대학에서 경제학, 법학을 공부하며 오스트리아 학파의 영향을 많이 받았다. 오스트리아 학파(비저, 뵘바베르크)로부터 가르침을 받음았다. 오스트리아 학파(멩거)가 주관하는 세미나에 참여하였다.
○슘페터의 특징
∘주류경제학의 입장에서 좁은 의미의 경제이론에 머물지 않고 폭넓은 시각을 갖추었다.
∘정태적인 분석과 동태적 분석의 장점을 부분적으로 수용하면서 자본주의 질서에 대한 논의 진행하였다.
∘왈라지언 체계의 한계를 인정하고 진화를 강조하였다.
∘하이에크와 슘페터의 공통점과 차이점
하이에크 | 슘페터 | ||
공통점 | 왈라지언으로 시작하여 동화와 진화로 이행한 행보 | ||
차이점 | 1 | 일반균형체계에서 완전히 이탈 | 일반균형체계에 나름대로 의미부여 |
2 | 자본주의 경제변동에 대해 과도기적 관심을 가짐 | 장기파동이론을 수용해 끝까지 관심을 가짐 | |
3 | 정학과 동학을 거쳐 자생적 질서로 이행 | 정학과 동학의 강점을 부분적 수용하여 자본주의 질서로 이행 |
※장기파동이론 : 슘페터가 주장한 가설로서 세계 경제의 역사적 흐름을 보면 과학기술 및 산업생산방식의 혁명적 변화는 약 50년을 주기로 규칙적으로 나타난다는 것이다.
∘여러 학자들과 슘페터의 비교
-슘페터는 마샬과도 유사 : 왈라지언 체계의 한계를 인정, 진화를 강조
-베블렌이 기술자 강조, 슘페터는 기업가 강조
「경제발전이론」(The Theory of Economic Development)
○혁신적인 기업가
-제품, 생산방식, 시장, 등 새로운 결합방식을 도입하는 존재
-기존 생산함수와 생산조직을 파괴하는 존재
-자본주의 발전의 동력을 만들며, 발전과 진화를 시작하는 존재
○경영자와 기업가의 차이
경영자 | 기업가 |
①습관이나 관습에 지배받음 ②일상적인 경제순환에 집중함 ③정태분석과 균형 ④발전이나 혁신이 없는 경제에서 재화에 의해 뒷받침되는 생산계획 세움 |
①습관을 극복 ②불연속적이며 자생적인 변동(발전)에 집중 ③동태적 분석 ④새로운 결합을 시도하는 채무자 |
○자본가와 기업가의 차이
자본가 | 기업가 |
①자본의 소유자 ②이자 소득(화폐시장을 통한 지속적 소득) ③혁신을 위한 자금 공급자 |
①의지를 가지고 새로운 것을 도입하는 지도자 ②이윤(생산에 의한 일시적 소득) ③사회 상층부를 변형시키는 계획자 |
○이윤에 대한 슘페터의 생각
-이윤은 일시적인 존재이다.
-이윤이 일시적인 것 처럼 기업가도 일시적으로 존재(따라서 기업가는 하나의 계층으로 정착 하지 않는다.)
⇒기존의 생산 함수와 생산조직을 파괴하는 기업가를 주장한 슘페터는 일반균형체제를 고수할 수 없었다.
-초과이윤이나 초과잉여가치의 개념이다.
-한계생산성에 따라 결정되지 않는다.
-자본축적과 경제성장의 주요 원천이다.
-새로운 결합방식에 의해 생긴 이윤은 여타 기업가들의 모방을 통해 사라진다.
ex)기업가가 새로운 결합방식을 도입→ 일차적 이윤을 가져다줌 → 결합방식이 모방을 통해 확산시 원래의 이윤이 소멸
○신용창출
-유동성증가를 통한 물가상승
-기존 구매력에 대한 압박
-자원용도의 변경
-기업가가 성공하면 채무는 미래에 발생하는 재화의 사회적 흐름이나 가치 증가로 상환
(신용인플레이션 해결)
○자본
-기업가에게 생산요소가 이동하게 만드는 지렛대
-기업가와 재화 사이에 존재하는 제 3의 인자
○경기변동
-기업가의 활동에 의해 발생
-새로운 결합방식이나 혁신이 뭉쳐서 발생
-혁신적인 기업가가 등장하면 다수의 기업가들이 혁신을 모방한다.
-불황의 원인은 생산수단의 가격상승, 신제품 등장으로 인한 가격하락, 신용 디플레이션, 신 용에 대한 새로운 수요자 부재 등 이다.
-호황과 불황은 혁신에 의해 발생한 잉여가치나 이윤을 소멸시키고 새로운 균형을 찾아가는 과정이다.
-균형을 위한 투쟁을 통해 호황의 결과를 경제 전체에 확산시키는 과정이다.
∘이러한 경기 변동(호황과 불황)은 정상적인 흐름과 비정상적인 흐름으로 나뉜다.
-정상적인 흐름: 경제가 겪어야할 여과과정을 내포하고 있다는 점
-비정상적인 흐름 : 불황의 원인이 아닌 건전한 기업이나 노동자를 희생시킨다는 점
⇒해결방안 : 신용정책
'경제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2. 세계경제 - 경제학의 발전과 계보② (0) | 2023.07.19 |
---|---|
5. 생산요소시장 (0) | 2023.07.19 |
한계효용학파(마샬, 클라크)의 이론 (0) | 2023.07.19 |
1. 세계경제 - 경제학의 발전과 계보① (1) | 2023.07.18 |
4. 시장의 종류 (0) | 2023.07.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