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계효용학파(마샬, 클라크)의 이론
한계효용학파(19세기 말~20세기 초) : 신고전학파의 시작
□(영국)제본스 → 마샬, 에스워스 한계 : 방법 → 발라스
⇒19c 말~20c 초 신고전학파로 정착 효용 : 내용 → 마샬, 클라크
1. 마샬 (영국, 1842 ~ 1924)
「경제학원리」 ∘제본스의 이론을 변형시켜 신고전학파 기반을 마련하였다. 마샬이 제시한 ‘틀’은 미시경제학의 ‘기본골격’이 되었다.
대표적인 경제학 교과서 : <스미스 「국부론」 → 밀「정치경제학원리」 → 마샬「경제학원리」→ 새뮤엘슨「경제학」 → 맨큐「경제원론」>
일차적으로 중요한 문제는 가치, 가격이다. 초기 한계효용이론이 ‘수요측면’을 일방적 강조한 것과 고전학파가 ‘공급측면’ 일방적 강조한 것은 모두 불완전 하다. 따라서 가격은 ‘수요’, ‘공급’ 양자가 영향을 미친다.
이 같은 논리는 고전학파와 한계효용학파(신고전학파)를 순조롭게 연결하려는 의도가 담겨있다.
○수요⇒한계효용
공급⇒한계생산성
∘마샬은 한계개념을 모든 생산요소에 일관되게 적용하였다. (↔리카도가 토지에 국한시킨 한계개념)
∘고전학파보다는 한계효용학파에 더 가깝다.
-경제활동을 모두 수요와 공급의 원리로 일관되게 설명하였다.
○마샬이 개념화한 것에는
부분균형, 정학과 동학, 탄성력과 대체, 내부효과와 외부효과, 준지대, 소비자 잉여와 근로자 잉여가 있다.
∘잉여개념이란?
-공급자잉여를 생산자 잉여가 아니라 근로자 잉여로 표현한다.
-신고전파에서 교환으로부터 얻는 이익은 소비자잉여와 생산자 잉여로 구성한다.
-신고전학파는 한계효용체감의 법칙과 한계생산물체감의 법칙에 의존한다.
⇒그 이전 존재하던 잉여와 잉여가치를 주관적이고 기술적인 것으로 바꿨음을 의미한다.
∘여러 개념들을 물리학에서 차용, 그러나 물리학적, 수학적 사용을 부차적인 도구로 취급하였다.
∘그러나 성숙한 분석에서는 동학이나 진화를 고려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경제제도 강조한 학자;마르크스, 베블렌, 하이에크, 마샬 등
○마샬의 방법론에는 연역과 귀납의 병용, 이론과 역사의 조화, 추상적 추론과 상식 및 본능의 결합,기계적 유추와 생물학적 유추의 역할분담, 수리적 방법의 한계가 있다.
○정리
∘마샬이 가지는 특징은 동태적인 경제상황 강조하고 수학적 방법 활용을 신중하게 적용하는 것이다.
2.클라크(John Bates Clark, 미국, 1847~1938)
「부의 분배」(The distribution of wealth)이란 책의 목표는 한계이론에 근거하여 신고전학파의 분배이론을 정립하는 것 이었다. 한계효용과 한계생산성을 이용해 임금, 지대, 이자를 일관되게 설명하였다. 즉, 노동자, 자본가, 지주 모두 생산요소가 생산에 공헌한 만큼 자신의 보수로 가져간다는 의미이다. ⇒생산한 것만큼 가져가는 것을 정의의 원칙으로 전제했기 때문이다.
리카도의 지대이론을 모든 생산요소에 확장시킨 것이 신고전학파의 분배이론이라는 것은 마샬에 이어 클라크에서도 확인가능하다.클라크는 농업지대뿐만 아니라 임금이나 이자도 넓은 의미에서 지대 혹은 차등적 이익을 인정했다.
○노동=고통, 자본=절제: 가치측정을 가능케 하는 두 개의 주관적 척도이다.
∘노동과 자본이 양면성을 가진다고 주장하였다. 자본은 구체적인 측면으로 생산재, 추상적인 측면으로 사회적 차원에서의 자금에 해당한다. 노동은 구체적인 측면으로 이질적이고 추상적 측면으로 사회적 차원에서 인간의 에너지로서 동질적이다. 사회적 가치에 따라 분배, 소득분배의 관점에서 시장을 옹호하며, 분배이론이 동시에 생산이론임을 명시하였다.
노동과 자본을 동일한 논리로 적용시킨 것은 고전학파와의 차이점이며, 모든 소득을 하나의 범주로 묶었다는 것은 마르크스와 공통점이다. 그러나 내용면에서 잉여가치가 아닌 지대로 삼았다는 점이 차이점이다.
○클라크의 학문적 공헌은 고전학파와 신고전학파 사이의 가교역할을 하였다는 것이다.
-고전학파의 소득분배이론을 비판하면서 리카도의 지대이론을 확장시킨 것이 자신의 분배이론이라고 밝혔다.
-고전학파의 자연개념을 사용 분배이론에 결정되는 임금, 이자, 지대가 자연적인 수준임을 강조하였다.
∘자본과 자본재에 대한 엄밀한 구분하였다.
∘경제주체들의 일상적 생각이나 행동 존중하였다.
-일상용어가 경제용어보다 더 과학적일 수도 있으며, 상식이 경제이론보다 진실에 가까울 수 있다. 경제주체들이 전통적인 이론에 얽매여 있는 경제학자들보다 경제를 더 잘 알 수도 있다.
∘정태적 분석과 동태적 혹은 진화론적 분석을 동시에 사용하였다.